페코뉴스 미디어센터/e-Book Mark

[산업] 생기원, 탄소섬유복합재 가공기술 개발

4everLove 2018. 3. 9. 17:18


기사 원본 : http://pluswater.cafe24.com/2018/02/20/%ec%82%b0%ec%97%85-%ec%83%9d%ea%b8%b0%ec%9b%90-%ed%83%84%ec%86%8c%ec%84%ac%ec%9c%a0%eb%b3%b5%ed%95%a9%ec%9e%ac-%ea%b0%80%ea%b3%b5%ea%b8%b0%ec%88%a0-%ea%b0%9c%eb%b0%9c/


레미컴미디어신문 : http://remicom.co.kr


[산업] 생기원, 탄소섬유복합재 가공기술 개발


 
 
 


사진=이석우 수석연구원(왼쪽)과 김태곤 선임연구원(오른쪽)이 유연가공시스템에 들어가는 다관절 로봇을 활용해 탄소섬유복합재에 드릴링 가공을 시도하고 있다.

 

우주·항공, 자동차 등의 차세대 수송기기 경량부품 생산 길 열려

 

[레미컴미디어=최양수 기자]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 경량부품 생산을 위한 탄소복합재 가공가술의 개발에 성공하며 우주·항공, 자동차 등 차세대 수송기기의 경량부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 이번에 개발하게 된 기술은 탄소섬유복합재의 가공에 필요한 각종 기술을 패키지화한 원천기술로 상용화될 경우 국내에도 소재의 부품화에서 제품화로 이어지는 탄소섬유복합재산업의 생태계가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탄소섬유복합재 가공기술을 패키지화한 원천기술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원장 이성일, 이하 생기원) 생산시스템그룹 이석우 수석연구원이 이끄는 공동연구팀이 경량부품 생산을 위한 탄소섬유복합재 가공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탄소섬유복합재는 고강도의 탄소섬유를 금속, 고분자 재료에 분산시켜 만드는 복합소재(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P), 무게는 철의 1/4 이하이면서 10배 정도의 강도를 지녀 제품 경량화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개발에 성공한 기술은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에 필요한 각종 장비, 검사, 공정 및 모니터링 기술을 패키지화한 원천기술이다.

 

가볍고 강한 탄소섬유복합재는 경량화가 필요한 분야에서 매력이 큰 소재이지만, 원재료와 공정비용이 높은데다 항공기, 자동차 등 품질기준이 엄격한 최종제품에 사용되기 때문에 가공과정에서 품질 확보가 중요하다.

 

특히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소재 특성상 절삭이 어렵고, 뜯기거나 갈라지는 결함이 자주 발생해 품질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사진=탄소섬유복합재 드릴링 가공.

 

대형생산방식과 유연생산방식의 투트랙 전략으로 기술개발 착수

공동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항공기용 대형부품에 적합한 대량생산방식과 다양한 차종부품 생산에 유리한 유연생산방식의 투트랙(Two-Track) 전략으로 기술개발에 착수했다.

 

먼저, 초고압으로 가압한 물에 고체 연마재를 첨가하여 그 에너지로 절단하는 방법인 워터젯드릴링 절삭기능을 하나의 공구로 통합한 8m×4m 복합가공장비를 개발, 2개의 공구를 사용하던 기존 장비보다 공간효율을 1.7배가량 높여 항공기용 대형부품의 생산성을 제고했다.

 

또 광학 스캐너를 활용해 가공된 부품 표면과 내부 불량을 1초 만에 파악하는 ‘3D 광학 고속 검사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 대형부품 품질검사의 속도를 높였다.

 

아울러 다양한 형태의 자동차 부품생산을 위해 워터젯·드릴링·분진흡입 등 각각의 기능을 전담하는 다관절 로봇을 최적의 위치에 배치, 시장의 수요 변화에 맞춰 부품의 형상 및 생산량을 조정할 수 있는 유연가공시스템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극저온·초음파 가공과 같은 첨단 가공공정 및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최적화함으로써 패키지형 탄소섬유복합재 가공기술을 완성했다.

 


사진=탄소섬유복합재 가공 후의 모습.

 

소재의 부품화제품화로 이어지는 탄소섬유복합재산업 생태계 조성 기대

생기원 주관으로 한국정밀기계, 기가비스, 씨에스캠, 시그널링크, 티오피에스등 산업계와 연세대학교, 중앙대학교, UNIST, 광주과학기술원, 영남대학교, Purdue대학교 등 학계, 그리고 한국기계연구원, 한국탄소융합기술원 등 연구계의 14개 기관이 참여한 이 과제는 2015년 시작돼 3년 만에 성과를 낸 것으로, 현재까지 총 53건의 특허를 출원해 10(해외 2)이 등록된 상태이다.

 

상용화될 경우 국내에도 탄소섬유복합소재를 부품으로 가공해 제품화하는 산업생태계가 조성될 전망이며, 201212조 원 규모에서 2030100조 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전망되는 탄소섬유복합재 세계시장에서 미국, 일본, 독일 기업들과 경쟁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석우 수석연구원은 이번 기술 개발을 통해 국내 탄소섬유복합재 산업생태계 조성에 꼭 필요한 부품가공 역량을 갖추게 됐다고 말하며, ”앞으로 지속적인 성능 테스트를 거쳐 장비 성능을 안정화하고 연구데이터를 축적해 기술 완성도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자료 제공=한국생산기술연구원


최양수 기자|remicom1@hanmail.net

 

< 저작권자 © 레미컴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